본문 바로가기
Humanities

십자군 전쟁 원인과 결과 간단히 정리

by 인문학 연구소 2023. 8. 13.
반응형

십자군 전쟁

 

십자군 전쟁에 대해 들어보신 적 있나요? 이 전쟁은 중세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사건 중 하나입니다. 십자군 전쟁은 11세기말에서 13세기말 무렵 일어난 전쟁으로, 당시 참전한 기사들이 어깨와 가슴에 십자가 표시를 했다고 하여 십자군 전쟁으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종교전쟁이었지만 순수한 종교적인 의미만 띠고 있는 전쟁은 아니었습니다. 그 원인과 전개 과정, 그리고 십자군 전쟁의 결과로 변화된 유럽 중세의 모습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십자군 전쟁의 원인

십자군 전쟁은 1096년부터 1270년까지 일어난 전쟁입니다. 그 당시 유럽은 봉건제도와 가톨릭교회를 기반으로 정치적 안정과 농업 생산력의 발전, 인구의 증가 등의 사회•경제적 성장을 이룬 상황이었습니다. 그 상황에서 중앙아시아 방면에서 이슬람제국 동부로 이동하여 이슬람교도가 된 셀주크투르크족은 급속한 세력 팽창으로 11C 중엽 바그다드를 점령(1055)하고 이슬람의 실질적인 지배자가 되었습니다. 그 세력은 점차 강성해져 예루살렘을 차지하기에 이르렀습니다. 그 후 그들은 성지순례자를 박해하였고, 소아시아의 니케아를 점령하고 콘스탄티노플을 위협하였습니다. 동로마 황제의 구원 요청에 교황 우르반 2세가 클레르몽 공의회 개최(1095)하여 성지회복을 호소하면서 십자군 전쟁이 발발하게 됩니다.

교황은 성지 탈환과 분열된 동서교회 통합을 꾀하면서 십자군 전쟁을 이용하고자 하였습니다. 즉, 이 전쟁을 교황권 신장의 기회로 삼으려 하였던 것이죠. 국왕은 영토 확장, 왕권강화를 위해 십자군 전쟁에 뛰어들었습니다. 그리고 제후•기사는 봉건 사회 발달에 따른 대외 발전과 영지•물적 자원의 확보를 원했습니다. 상인은 동방무역을 통한 무역 이득을 꾀했습니다. 결국 각계각층의 이해관계가 얽혀 십자군 전쟁이 발발하게 됩니다.

 

십자군 전쟁의 전개 과정

제1차 십자군은 성지 회복이라는 목적을 달성한 유일 십자군이었습니다. 제3차 십자군 전쟁 이후에는 휴전 협정이 이루어졌다가, 이후 다시 십자군을 파견하게 됩니다. 1198년의 제4차 십자군 시기에 교황 이노센트 3세가 십자군들을 파면하고, 플랑드르백 볼드윈은 콘스탄티노플에 라틴제국을 수립하는 초유의 상황이 전개되었습니다. 결국 처음과는 달리 교황, 국왕, 기사들은 서로 권력을 얻고 경제적인 이득을 우선적으로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면서 그 성격이 조금씩 변질되기 시작했던 것입니다. 십자군 전쟁은 9차까지 이어졌음에도 예루살렘 탈환은 결국 실패로 돌아가게 됩니다. 이후 예루살렘은 오랫동안 이슬람이 지배하게 됩니다.

 

십자군 전쟁의 결과

결과적으로 교황권 쇠퇴, 왕권의 강화를 가져왔습니다. 즉, 교황권은 십자군 전쟁의 실패, 왕권의 신장의 분위기에 따라 점차 쇠퇴하게 됩니다. 그러면서 유럽 사회는 왕권을 중심으로 한 집권적인 통일국가 형성의 추세로 나아갑니다.

그리고 전쟁의 결과로 봉건영주가 몰락하게 됩니다. 십자군에 참가한 봉건 영주들은 전사하거나 전쟁 기간에 영지에 대한 관리를 소홀히 하여 경제적으로 위축되었습니다. 그들 중 일부는 전쟁 비용을 갚지 못해 파산하였고, 도시의 상공업자들에게 특허장을 팔기도 했습니다.

그렇지만 경제적으로는 이탈리아 도시국가들이 중심이 되어 이슬람교도에게 빼앗겼던 지중해를 회복하였고, 유럽인이 주도하는 동방 무역이 발달하였습니다. 그러면서 동방무역의 주도권이 콘스탄티노플에서 북이탈리아로 넘어오게 되었습니다. 이는 유럽의 상공업 발달을 촉진하고 도시의 발달을 가져오면서 중세 사회를 무너뜨리는 데 영향을 미쳤습니다.

서유럽세계와 이슬람 세계는 교류가 더욱 활발해지면서 문화적으로도 큰 변화가 나타났습니다. 십자군 전쟁은 선진 이슬람 문화•비잔틴 문화의 유입을 촉진하였고, 이슬람 세계의 선진적인 건축기술에 영향을 받게 되면서 유럽 세계에 거대한 성곽•교회 건물이 지어질 수 있었습니다. 더 나아가 십자군 전쟁으로 쌓은 경제적 부와 이슬람으로부터 들어온 그리스•로마 고전들은 훗날 서유럽에서 르네상스가 일어나는 밑거름이 되었고, 스콜라 철학 형성에 영향을 끼쳤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