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왕은 고구려의 20대왕으로 413년부터 491년까지, 무려 78년 동안 재위하였습니다. 태자가 먼저 세상을 떠난 이후에도, 무려 98세까지 살았다고 하니 지금 기준으로도 상당히 오래 산 축에 속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장수왕이라는 시호가 붙게 되었습니다. 오래 살면서 고구려사에 길이 남을 업적을 많이 남겼습니다.
장수왕의 외교 정책 : 다면적인 외교
장수왕이 집권하던 동안 중국의 세력 침략은 없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는 남조와 북조 사이에서 한쪽에 치우치지 않는 외교 관계를 유지했기 때문입니다. 북위를 중심으로 하여 중국의 남조와 북방의 유연 및 서쪽의 토욕혼, 동쪽의 고구려가 서로 연결을 꾀하며 북위를 포위하고 견제하는 한편, 각자 북위와 우호관계 또는 적대관계를 맺게 되었습니다. 고구려 역시 세 국가와 등거리 외교관계를 맺으며, 동아시아의 세력균형에 일조하였습니다.
고구려는 북위에 대한 견제책으로 남조 송과 통교하였으며 북방의 유연과도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외교 정책은 국경을 접하고 있는 북위에 대한 교섭과 견제라는 고구려 대외정책의 기본 방향성을 반영하는 것이었습니다.
그 결과 양국은 서로의 세력권을 인정하며 사신교환과 문물교류로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상황은 오히려 복잡성을 가중시키기도 했는데요, 예를 들어 한동안 고구려 속국으로서 우호적인 관계였던 '북연'이 있습니다.
북연은 원래 고구려 출신 고운이 건국했으나, 후에 한족 출신 풍발이 왕위를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북위의 압력으로 인해 나라를 유지할 수 없게 된 풍홍은 장수왕에게 사신을 파견하여, 만일의 경우 백성과 군사를 이끌고 고구려로 가겠다는 요청을 하였습니다. 이후 북위의 침공으로 풍홍은 고구려로 가고, 북연은 멸망하였습니다. 하지만 이런 상황에서도 고구려는 북위와 직접적인 충돌을 피하기 위해 풍홍을 살해하였습니다. 이 사건 이후 한동안 북위와 외교가 단절되기도 했으나 장수왕 50년에 다시 국교를 회복했습니다.
평양 천도
427년에는 평양으로 천도하였습니다. 고구려가 평양으로 천도한 이유는 여러 가지입니다. 평양은 과거 고조선 및 낙랑군의 중심지였습니다. 따라서 이미 경제적, 문화적 발전이 이루어진 지역으로 이를 기반으로 더욱 발전시킬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대동강을 통해 황해로 직접 접근할 수 있는 평양은 국제적인 활동에 유리한 위치였습니다. 특히 당시 중국인 남조와 북조와의 교류가 활발했으며, 백제와 신라 방면으로의 진출에도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었습니다. 당시 고구려는 구귀족 세력기반인 국내성에서 벗어나 왕권을 강화하고자 하였습니다.
평양 천도 이후 고구려는 여러 면에서 큰 변화를 겪었습니다. 평양 천도는 왕권을 강화하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구귀족 세력기반인 국내성에서 벗어나 평양성으로 이동함으로써, 왕의 중앙집권화가 가속화되었습니다. 평양은 이미 경제적, 문화적 발전이 이루어진 지역이었고, 천도 후에도 그런 위치를 유지하며 고구려의 경제적 발전에 기여하였습니다. 대동강을 통해 황해로 직접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있던 평양은 국제적인 활동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였습니다. 특히 중국과의 교류가 활발해졌으며, 백제와 신라 방면으로의 진출에도 도움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평양 천도 과정에서는 당시 국내성에 있던 귀족들과의 갈등이 있었습니다. 이는 일부 사회 내부에서 불만을 증폭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습니다.
남하 정책과 한강 유역 점령
장수왕은 개로왕이 위나라에 고구려 정벌을 요청한 국서를 빌미로 백제를 침략합니다. 이 과정에서 위례성을 함락하고 개로왕을 아차산성에서 죽였습니다. 그 후 영토 확장을 통해 한강 유역을 장악하였으며, 한강 차지에 만족하지 않고 계속 남하하여 천안, 청주를 지나 금강 유역까지 진출하였습니다. 또한 중부 지방으로는 충주를 획득하고, 소백산맥을 넘어 영주, 예천(낙동강 상류)까지 내려왔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고구려는 죽령부터 남양만을 연결하는 선까지 장악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신라의 영토는 소백산맥 이남에, 백제의 영토는 금강 이남에 한정되고 말았습니다. 순흥 어숙묘에는 고구려의 흔적이 발견되었으며, 울진봉평비에는 '老人'이라는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또한 충주에는 충주고구려비(482년)가 세워져 있습니다.
지금까지 고구려 장수왕의 업적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다음에도 더 좋은 글로 찾아뵙겠습니다.
'Humaniti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양 중세 학문과 교육 및 자연 과학의 발달 (0) | 2023.09.12 |
---|---|
세계사를 바꾼 5가지 사건들 (0) | 2023.09.06 |
삼국시대 고구려 초기 역사와 왕들의 정책 (0) | 2023.08.30 |
중세 도시와 상공업의 발달, 지중해무역, 북유럽무역 (0) | 2023.08.13 |
십자군 전쟁 원인과 결과 간단히 정리 (0) | 2023.08.13 |